✒️ 0. 들어가기 전이전에 작성했던 JSON 관련 포스팅 참고https://jinhos-devlog.tistory.com/entry/JSON%EC%9D%B4%EB%9E%80 ✒️ 1. JSON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Javascript 객체 문법 으로 구조화된 데이터 교환형식주의할 점은 그렇다고 js 기반의 언어에서만 쓰인다는 것은 아니다!!!!!!!!python, javascript, java 등 여러 언어에서 데이터 교환형식으로 쓰인다.그냥 '데이터 교환형식'이라고 답하면, 감점당할 수도 있다! ('Javascript 객체 문법'도 중요한 키워드)💡 JSON의 형식키(key)과 값(value)으로 구성된다.{key : value}이미 존재하는 키를 중복선언하면..
Spring 인가 인증 JWT 공부를 하다가, 요즘 코딩 권태기가 와서 코딩에 손이 안잡힌다... 여행 한 번 갔다오면 해결 될 것 같은데~ 어쨌든 그래서 엊그제 보고온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를 써본당.. 1. 본인 수준 (이정도 수준에서 얼만큼 공부해서 통과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자세히 적어본다.) 현재 컴과 24년도 4학년 예정자이다. 꽤 학점이 나쁘지 않다. (1-2학기빼고는 3.후반 4.초반 대이다.) 코딩 실력은 C, 파이썬, 자바 (대학 수업 수준)를 배웠고, 현재 자바 스프링 열심히 공부중인다. 그래서 웬만한 1~4 과목 내용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상태이다. (보안 관련 과목은 안들어서 5과목은 정말 정말 생소했다.) 가물가물하지만 20문제 중에 10~15문제 정도는 어디선가 봤던 것..
! 오답노트! 제 1 과목 : 소프트웨어 설계 1. 유스케이스(Use Case)의 구성 요소 간의 관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유스케이스(Use Case)의 구성 요소 간의 관계 포함 관계 (Inclusion Relationship) 확장 관계 (Extension Relationship) 일반화 관계 (Generalization Relationship) 의존 관계 (Dependency Relationship) - 구체화 관계는 없다. 제 2 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1. 다음과 같이 레코드가 구성되어 있을 때, 이진 검색 방법으로 14를 찾을 경우 비교되는 횟수는? 1. 2 2. 3 3. 4 4. 5 단계 1: 배열의 중간 요소를 선택합니다. 단계 2: 찾고자 하는 값과 중간 요소를 비교합니다. 단계 3..
해당 post는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되어, 다시 봐야할 부분만 간단히 정리해놓은 post입니다. 1. 요구사항 확인 1) 현행 시스템 분석 * 분석 순서 고객 요구 ->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팅 -> 제품 * 현행 시스템에서 파악해야 하는 것 플랫폼 기능 분석 플랫폼 성능 특성 분석 운영체제 분석 네트워크 분석 DBMS 분석 비즈니스 융합 분석 (인적 자원 분석은 들어가지 않는다.) * 미들웨어 솔루션 유형 6가지 1) DB : 원격 DB와 연결 2) WAS 웹 : Web ~ ; 웹 환경을 구현 3) MOM 메시지 비동기 : Message ~ ; 메시지 기반의 비동기형 메시지를 전달 4) RPC : 원격 프로시저를 로컬 프로시저처럼 호출 5) ORB 객체지향 : Object ~..
1. JSON이란?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경량의 데이터 교환 형식이다.(XML과 같은 다른 형식도 있다.)JSON은 인간이 읽고 쓰기 쉽고, 기계적으로 파싱하고 생성하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JSON 문서 형식은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형식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JSON 포맷의 데이터를 핸들링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JSON Parsing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교환에 주로 사용되며, REST API와 함께 자주 활용된다.2. JSON 의 형식JSON은 자바스크립트 객체와 비슷한 문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데이터는 key-value 쌍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중괄호 {}로 감싸진 객체(Object..
1. HTTP/HTTPS 통신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은 주로 HTTP(또는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 HTTP/HTTP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란?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통신 프로토콜(약속)이다.TCP 와 UDP 를 사용하여 통신하고, 80번 port를 사용한다.HTTP는 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CSS, JavaScript, 이미지 등의 리소스를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초기에는 HTML 파일을 전송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 발전하여JSON, image 파일 등의 전송도 모두 관여한다.HTTPSHTTP의 보안 버전SSL(Secure So..
0. 네트워트(Network) 란?네트워크는 Net + Work 의 합성어이다.말그대로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형태를 의미한다.즉,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하는 것"IEEE에서 정의한 Network :_ 상호 연결된 여러 장치나 시스템 간의 데이터 및 자원 공유를 위한 구조이며, 데이터를 교환하고 통신하기 위한 규칙, 프로토콜 및 기술을 포함한다._ 1. URL(Uniform Resource Locator)URL은 웹 주소이다;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Resourse)의 위치를 알려주는 주소이다.우편 주소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REF 1738에 정의된 Common Internet Scheme Syntax를 보자.(https://datatracke..
0. 동기/비동기 & 블로킹/논블로킹비동기 처리에 관한 이야기에 앞서, 동기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비(非)동기란 동기가 아니다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동기가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하고 싶었다.또한, 이들과 혼동되어 쓰이는 블로킹/논블로킹은 어떤 의미인지 추가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1. 동기(Sync) vs. 비동기(Async)동기(Sync)와 비동기(Async)는 작업의 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이다.결론부터 말하면, 이 둘의 주요한 차이점은 작업 순서 처리 차이이다.1) 동기 (Synchronous) 란?검색을 해보니 CS에서의 '동기'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라는 의미라고 한다.필자는 대충 '겹치지 않고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 정도'로 이해했던 터라, "동시"라는 단어에서 논리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