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들어가기 전우리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로 HTTP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익히 안다.그러나, 시대가 지남에 따라 다양한 해킹 방법이 등장하고, HTTP 또한 보안적으로 취약한 프로토콜로 지적받기 시작했다.특히, HTTP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암호화 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간자 공격 같은 보안 위협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그래서 더욱 안전하게 리소스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보안 체계가 필요했고, HTTPS가 탄생했다.1️⃣ HTTPSHTTPS는 HTTP의 보안버전이며,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안전..
클라우드에서의 보안 (AWS)IAM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하는 시스템사용자의 증명, 혹은 Group에 대한 권한을 부여함.최소 권한 원칙 (Principle of Least Privilege)보는 것이 필요할 경우, 나열 혹은 읽기 권한만 준다.viewOnlyAccessVPC네트워크 접근 제어보안 그룹인바운드 규칙 혹은 아웃바운드 규칙을 정한다.인바운드는 필요한 서비스만 연다.아웃바운드는 외부와의 연결이 필요한 인스턴스에만 적용한다.포트와 IP 주소를 기준으로 트래픽 허용 혹은 거부네트워크 ACL서브넷 수준에서 트래픽을 필터링하는 정책 기반의 보안 구성 요소이다.VPC의 서브넷 간에 오가는 트래픽을 제어한다.(보안 그룹과 다르게 상태가 비저장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들어오는 트래픽과 나가는 트래픽을 독립적으로..
✒️ 0. 들어가기 전다음 포스팅 이어서... [네트워크]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 0. 들어가기 전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내용이다.컴퓨터 네트워크 수업을 듣고 기억에 남는 단어는 'OSI 7계층'..?....머리 속에 요상한 7가지 블럭 두개가 있고, U자로 데이터가 왔다 갔다jinhos-devlog.tistory.com ✒️ 1. 유선LAN - 전이중화 통신, CSMA/CD유선 LAN 기술의 핵심은 바로 '전이중화(full duplex) 통신'이다.양쪽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유선LAN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전이중화 통신을 쓴다. 이 규칙은 이더넷 프레임의 구조, 케이블의 최대 전송량..
✒️ 0. 들어가기 전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내용이다.컴퓨터 네트워크 수업을 듣고 기억에 남는 단어는 'OSI 7계층'..?....머리 속에 요상한 7가지 블럭 두개가 있고, U자로 데이터가 왔다 갔다 하는 흐름 정도만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서비스 기업의 단골 중에 단골 질문은 "서버 상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이동하는가?" 에 대한 내용이다.그러려면 머리 속에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와 그에 대한 이해가 명확히 들어있어야 한다.그래서 차근차근 알아보자. ✒️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의 이해네트워크 기기는 각자의 역할에 따라 계층별로 나눌 수 있다.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가 하위 계층도 처리할 수 있다는 거다.반대는 불가능하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로드밸런서는 네트..
✒️ 0. 들어가기 전계속 포스팅에서 HTTP에 대한 깊게 알아보았다.이번에는 간단하게, HTTP 상태코드와 HTTP 메서드에 대해 짧게 알아보겠다. ✒️ 1. 많이 사용되는 HTTP 상태코드(status code)HTTP 상태코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이다.사실, 아래 소개하는 상태 코드 말고도 정말 많은 상태코드가 있다.또한, 실제 HTTP 상태를 디테일하게 쪼개지 않고 프런트측과 약속하여 일부 포괄적으로 사용하거나역으로 좀 더 디테일하게 상태코드를 설정하여 에러메시지와 함께 바디에 보내기도 한다.혹은 성공 Status는 따로 구분하지 않고 200으로 통일하는 경우도 있다.[즉, 상황에 따라 어떤 Status를 보내줄 지는 프런트와 약속하여 정하기 나름]?..
✒️ 0. 들어가기 전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내용에서 HTTP에 대한 심화된 내용을 조금 더 다뤄보겠다. [네트워크] HTTP 헤더(header)✒️ 0. 들어가기 전HTTP 요청/응답 과정에서 Header와 Body를 주고 받는다.이 중에서 헤더에 대해 알아보자. ✒️ 1. HTTP 헤더HTTP 헤더는 사용자가 HTTP 요청을 할 때 주고받는 중요한 정보다.헤더와jinhos-devlog.tistory.com ✒️ 1. HTTP 프로토콜의 진화: HTTP/1.0부터 HTTP/3까지💡 HTTP/1.0: 초기 단계HTTP/1.0은 웹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이다. (완전 초기의 HTTP) 이 버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연결 수명이 짧다: 각 HTTP 요청마다 새로운 TCP 연결을 설정한다..
✒️ 0. 들어가기 전HTTP 요청/응답 과정에서 Header와 Body를 주고 받는다.이 중에서 헤더에 대해 알아보자. ✒️ 1. HTTP 헤더HTTP 헤더는 사용자가 HTTP 요청을 할 때 주고받는 중요한 정보다.헤더와 바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이 이루어진다. 💡 HTTP 헤더와 바디예를 들어, https://www.naver.com/를 요청할 때 받는 응답을 살펴보면:Response 탭의 내용이 body다.Headers 탭의 내용이 header다.바디는 서버가 전송하고자 하는 실제 컨텐츠(JSON, HTML, 이미지 등)를 담고 있다. https://jinhos-devlog.tistory.com/entry/데이터-교환의-형식-JSON과-직렬화역직렬화https:..
✒️ 0. 들어가기 전https://jinhos-devlog.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IP-%EC%A3%BC%EC%86%8C-%EC%B2%B4%EA%B3%84-%EC%9D%B4%ED%95%B4-IP-%EC%A3%BC%EC%86%8C-MAC-%EC%A3%BC%EC%86%8C-ARP-RARP [네트워크] IP 주소 체계 이해 1 - IP 주소, MAC 주소, ARP, RARP✒️ 0. 들어가기 전IP 주소와 MAC 주소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차이를 알아보자.또한 ARP와 RARP는 이 두 주소 간 변환을 담당합니다.이 4가지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자. ✒️jinhos-devlog.tistory.com해당 포스팅 내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