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UMC (Study)

📝 학습 목표RESTful한 API 설계를 익힌다.Node.js, Spring boot의 프로젝트 세팅을 한다.🤔 개발 설계 단계!개발을 공부하고, 팀 프로젝트를 하다보면가장 크게 느끼는 점이 "설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점을 뼈져리게 느낀다는 것이다. 컴공에서 배우는 이론적인 이야기에 "설계"에 많은 시간을 쏟은 것도당시에는 '왜 이런걸 배울까' 스트레스도 받았지만,정말 정작 중요한 것은 "설계" 였다... 설계만 잘 해놓아도, 개발 과정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대충만 순서를 말해보자면,요구사항 분석 후 명세서를 작성하고,ERD를 그려 엔티티간의 관계를 정의한다.바로 저번주에 ERD를 그려보았다! 그리고 이후에 하는 것이 바로 API 설계!RESTful API 등의 스타일을 정하고, U..
📝 학습 목표예시를 기반으로 여러가지 요구 사항에 대한 SQL 쿼리를 고민한다.paging을 고려하여 쿼리를 작성한다. 🤔 Join과 SubQeury!SQL의 기본 문법인 JOIN과 SubQuery에 대해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시작한다! (타 블로그에 정리가 잘되어 있어서 소개해본다!)- Table JOIN [MYSQL] 📚 테이블 조인(JOIN) - 그림으로 알기 쉽게 정리SQL JOIN JOIN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 집합으로 표현해 주는, Relation Database 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녀석이다. (INNER) JOIN 조인하는inpa.tistory.com- SUBQUERY [MYSQL] 📚 서브쿼리 개념 & 문법 💯 정..
✒️ 0. 들어가기 전배포 상황을 고려해보자.데이터베이스를 로컬 컴퓨터에 두면.... 안 좋다.(아래 포스팅 참고..) 6. 배포 준비하기다음은 글은 infrean의 "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강의의 학습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강의의 디테일한 내용jinhos-devlog.tistory.com컴퓨터를 끄면 데이터베이스 접속이 안되기도 하고,로컬 컴퓨터에 접속을 한다는 것은 해당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로 접속이 되도록포트포워딩을 해야한다는 뜻이기도 한다.따라서 데이터베이스도 EC2처럼 외부 컴퓨터를 빌려서 서버 구동하는 컴퓨터에 MySQL을 깔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포스팅에서) 그러나... EC2에 데이터베이스를..
📝 학습 목표Database 설계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이해한다. 🤔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좋을까?백엔드 서버에서 빼놓을 수 없는 DATABASE. 그래서 이번 스터디의 주제는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좋을까? 를 고민하고,제시된 요구 사항에 대해해당 상황에서 어떻게 설계를 하는 것이 좋을지를 다루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설계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직접 설계를 해보며 스스로 익혀보자.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설계할까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설계할까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해보자✒️ 0. 들어가기 전그렇다면 데이터베이스는 언제 설계를 해야 할까?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결과물은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이다.ERD를 그리는 툴은 여러..
📝 학습 목표 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Server의 차이를 이해한다. Reverse Proxy를 이해하고 적용한다. 🤔 웹 서버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Web Server와 Web Aplication Server??? 둘이 무엇이 다른 걸까? 일단,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Web Server의 개념이 먼저 나왔고, Web Aplication Server는 이후에 등장했다는 것을 알아두자. 사실, 웹 기술의 발전 과정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1. 정적 웹 페이지 서비스 : 보통 초기 웹 단계에서는 정적인 HTML 페이지만을 서비스하고, 사용자도 매우 많지 않았다. 2. 웹 서버의 등장 : 초기 웹에서 정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다! Apache, Nginx 등의 웹 서버가..
1. VPC를 이용한 EC2 구축 1) VPC 만들기 1. (회원가입)로그인 후 -> 메인화면 -> 오른쪽 상단에 지역을 "아시아 태평양 (서울)"으로 변경한다. 2. VPC를 검색하여 VPC 서비스 페이지로 들어간다. 3. VPC 생성 누르기! 4. VPC만을 선택하고 아래 사진처럼 설정한다. a. 이름 태그 : 영어와 하이픈(-)을 이용하여 생성 b. IP 대역은 10.0.0./16으로 설정 c. 태넌시는 그대로! 2) 서브넷 만들기 1. 옆의 사이드바에서 서브넷 클릭 후, 서브넷 생성 a. 방금 만든 VPC 설정! (괄호 안에 방금 만든 VPC의 이름 태그 확인!) b. 서브넷 이름은 의미 있는 이름으로 해주고 c. CIDR은 10.0.1.0/24로 설정! (이후에 서브넷을 이어서 만들고 싶으면, ..
📝 학습 목표 AWS의 VPC를 이해한다. 서버가 어떻게 구축되는지 이해한다. 🤔 AWS에서 리전과 가용영역 AWS를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리전과 가용영역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리전과 가용영역은 Amazon Web Services (AWS)의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간단히 설명하게 넘어가보자! 💡리전 (Region) AWS에서 수많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당연히 대규모 서버 컴퓨터를 모아둔 중앙 서버가 필요할 것이다!! 만약에 전세계 컴퓨팅을 감당할 서버 컴퓨터가 단 1개 있다면? 1. 성능 한계: 단일 서버는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이 한정되어 있다. 모든 자원이 북미에 있다면, 지구 반대편의 아시아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너무 너무 느릴 것이다! 2. 고가용성 및 내결함성..
📝 학습 목표 서버의 정의와 역할을 이해한다. 서버가 어떻게 구축되는지 이해한다. 🤔 서버란 무엇일까? 우리는 아주 흔히 "SERVER" 라는 단어를 쓴다. 그러나 우리는 아주 익숙하게 사용하는 단어에 대해 정의를 물어보면 갑자기 머리가 하얗게 되어버린다.. 너무 당연해서 깊게 생각한 적이 없는 것이다. "서버가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형태로 존재해?" 이러한 물음에 대답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서버가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 OS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세스 이며, -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는 프로세스와 소켓을 통해 IPC를 수행하는 것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 ✒️ 0. 들어가기 전 이번 포스팅의 목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각각 하나의 프로세스로써 어떻게 DATA를 주고받는지 이해하는 것!..
dog-pawwer
'강의/UMC (Study)' 카테고리의 글 목록